반응형
반응형
강의는 Azure를 이용한 MySQL 호스팅을 사용할 것으로 되어 있지만, 무료 데이터베이스 툴인 Maria가 Spring과 함께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다 MySQL은 이미 전 회사에서도(ㅎㅎ) 지겹게 경험한 적이 있어 Maria로 실습하기 위해 과정을 남겨 보았다. ! 시작하기 전에, lombok을 사용하면 마지막에 Getter와 Setter를 자동으로 만들게 해 주는 어노테이션을 사용할 수 있어 편하니 설치를 권장한다.IntelliJ를 사용할 경우, Setting -> Plugins에서 lombok을 검색하면 Install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롬복을 정상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annotation processors라는 메뉴에서 Enable annotation processing 항목을 체크해준..
스프링 부트로 만든 프로젝트의 기본 디렉토리 구조와, 각 파일의 역할을 알아보자 .아래와 같은 아주 기본적인 프로젝트를 생성했다. 1. src/main/javaJava 코드가 위치하는 디렉토리로, 아래와 같은 서브 패키지 구조로 구성된다. 지금은 간단하게 작성하여 나뉘어져있지 않지만, 실제 프로젝트에서 사용되는 구조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controller/: REST API 또는 MVC 컨트롤러 클래스.service/: 비즈니스 로직을 처리하는 서비스 계층.repository/: 데이터베이스와의 상호작용을 처리하는 인터페이스(JpaRepository, CrudRepository).domain/ (또는 model/): 데이터베이스 엔티티 클래스 및 DTO, VO 등이 위치.ProjectAppli..
스프링으로 개발을 할 때, 프로그램을 수정하면 서버 빌드도 다시 해야 하는 것이 불편하여 Spring Boot Devtools를 이용해 보았다.Spring Boot Devtools를 설치하면 서버를 재시작하지 않아도 클래스를 변경할 때 서버가 자동으로 재가동된다. Spring Boot Devtools를 사용하려면 Spring Boot Devtools를 그래들(Gradle)로 설치해야 한다. Gradle은 Java 생태계에서 빌드와 관리를 담당하는 핵심 도구로, React 생태계에서 사용하는 Vite 또는 Webpack과 유사한 역할을 한다. Gradle이 React의 Vite나 Webpack과 정확히 동일하지는 않지만, "개발을 돕는 빌드 및 구성 도구"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다만, Gradle..